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메신저의 가능성과 한계

by 체비 2025. 3. 27.

최근 중앙집중형 메신저(카카오톡, 텔레그램, 왓츠앱 등)의 검열과 보안 문제로 인해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메신저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인 한계도 존재하는데요. 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가능성: 블록체인 메신저의 강점

1️⃣ 검열 저항성 & 프라이버시 강화

  • 중앙 서버가 없어 정부나 기업의 검열이 어려움
  • 메시지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 저장 → 데이터 위·변조가 불가능
  • 익명성이 보장되어 사용자 신원 노출 최소화

2️⃣ 보안성 강화 (E2E 암호화 + 스마트 컨트랙트)

  • 기존 메신저는 중앙 서버를 해킹하면 정보 유출 가능
  • 블록체인은 P2P 방식으로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전달 → 도청 및 해킹 위험 최소화
  •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하면 보안성을 높이는 자동화 기능(자폭 메시지, 비밀 채팅 등) 가능

3️⃣ 광고 없는 공정한 경제 모델

  • 중앙 서버를 운영하는 기업이 없으므로 광고 기반 수익 모델 불필요
  • 대신 토큰 이코노미를 활용하여 기여자(노드 운영자)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구조 가능

4️⃣ 분산 저장으로 서버 다운 문제 해결

  • 기존 중앙화된 메신저는 서버 장애 발생 시 접속 불가
  • 블록체인은 노드가 분산되어 있어 일부 장애 발생해도 운영 가능

🔻 한계: 블록체인 메신저가 풀어야 할 문제들

1️⃣ 속도 & 확장성 문제

  • 블록체인은 트랜잭션 처리 속도가 느림 (ex. 비트코인 1초당 7건, 이더리움 30건)
  • 기존 메신저(텔레그램, 카카오톡)는 초당 수만 건 처리 가능 → 실시간 대화에 불리함
  • 솔루션: 레이어2(Layer 2) 기술, 오프체인 저장소 활용

2️⃣ 데이터 저장 비용 문제

  • 모든 메시지를 블록체인에 저장하면 데이터 폭증 → 높은 저장 비용 발생
  •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같은 외부 분산 저장 기술 활용

3️⃣ 사용자 경험(UX)의 불편함

  • 블록체인 지갑을 연동해야 하므로 일반인에게 진입 장벽이 높음
  • 비밀번호 분실 시 복구 어려움 (기존 메신저는 이메일/전화번호 인증 가능)

4️⃣ 법적 문제 & 정부 규제

  • 익명성이 강해 범죄(마약 거래, 테러 통신) 악용 가능성
  • 일부 국가에서는 탈중앙화 서비스 자체를 금지할 가능성 (ex. 중국, 북한 등)

5️⃣ 토큰 이코노미의 지속 가능성

  • 사용자 보상 모델이 유지되지 않으면 서비스 지속 불가능
  • 토큰 가치 변동이 크면 경제 모델이 불안정해질 위험

🔥 가능성과 한계를 고려한 현실적인 방향은?

하이브리드 모델 활용
메시지는 오프체인(IPFS 등)에 저장, 인증 및 결제만 블록체인 적용

빠른 합의 알고리즘 도입
→ 기존 PoW(작업증명) 대신 PoS(지분증명) 또는 DAG 기반 기술 도입

사용자 편의성 강화
→ 블록체인 관련 기술을 몰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UX 개선

🎯 대표적인 블록체인 기반 메신저 프로젝트

  • Session (Signal 기반, 세션 ID 사용)
  • Status (이더리움 기반, 탈중앙화 앱 지원)
  • Oxen (익명성 강한 메신저)

📌 완전한 탈중앙화 메신저가 기존 메신저를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려울 수 있음.
하지만 보안성과 프라이버시를 중시하는 사용자층을 타겟으로 niche 시장에서는 충분히 성장 가능! 💡